ISO18436-2 진동 영역의 내용에 기초하여, 기술의 기본 개념에서부터 측정 및 진단 기법, 보고서 작성요령, 실무 교정까지 유저의 요청에 따라 내용을 반영하여 교육을 진행합니다.
교육 장소 : 한국기술교육대학교(천안) 또는 사내 내방 교육(출강)
항목 | 교육 내용 |
---|---|
설비관리 일반 |
설비관리 전략 및 특성 : BM, PM, PdM, PAM 요소 기술 개요 : 진동, 소음, 초음파 등. |
진동 개념 |
진동 정의, 기본 운동(Basic Motion), 주기, 주파수 의미 진폭(Peak, Peak to Peak, RMS), 매개변수(변위, 속도, 가속도)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, 위상 고유진동수, 공진, 위험속도 |
센서 기본 |
설비진단의 흐름, 센서 개요 진동(Accelerometer) 센서, 속도(Velocity) 센서, 변위 (Proximity Probe) 센서 |
데이터 취득 및 처리 |
측정 장비의 이해, Fmax, 취득 시간, 트리거 시험 계획, 시험 절차, 데이터 형식 Window 함수, 대역폭, 분해능, 평균화 |
데이터 분석(기본) |
시간파형 분석, 스펙트럼 분석, 위상 분석 |
정리 |
Q&A, 교육 결과 평가 |
비고)
교육 시간은 오전 10:00 ~ 17:00까지 진행 예정임.
교육 강사는 ISO 18436-2 LEVEL 3 취득 및 ISO 교육 강사로 편성됨. |
항목 | 교육 내용 |
---|---|
사례 연구 1 |
발란싱 (단면, 다면) 공진, 위험속도 |
사례 연구 2 |
얼라이먼트 헐거움 베어링 |
사례 연구 3 |
Shaft 결함 |
CMS 원리 및 정비 |
CMS의 올바른 활용 방안 |
통계 알람 |
알람 설정의 목적 알람 설정의 기준 통계 알람 설정 |
정리 |
Q&A, 교육 결과 평가 |
비고)
교육시간은 오전 10:00~ 17:00까지 진행 예정임.
교육 강사는 ISO 18436-2 LEVEL 3 취득 및 ISO 교육 강사로 편성됨. |
